상세 컨텐츠

본문 제목

보조배터리 화재 막으려면? 리튬이온 배터리 화재 예방법

유용한 생활정보

by 해파란 2025. 1. 31. 18:46

본문

반응형

이 글은 최근 연달아 보도되는 보조배터리(리튬 이온 배터리) 화재 소식에 다소 불안감을 느낀 글쓴이가 관련 내용을 검색해보고 정리한, 리튬이온 배터리의 특성과 화재 예방법에 대한 정보글입니다.

 

-

리튬이온 배터리는 현대 생활에서 없어서는 안 될 필수품이 되었습니다. 스마트폰, 노트북, 전기차, 전기자전거, 이어폰 등 우리가 매일 사용하는 대부분의 전자기기에는 리튬이온 배터리가 들어있죠. 이 글에서는 리튬이온 배터리의 특성과 안전한 사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
목차
1. 리튬이온 배터리의 장점과 위험성
2. 국내 리튬이온 배터리 화재 현황
3. 리튬이온 배터리 안전하게 사용하는 법

 

 

리튬이온 배터리의 장점과 위험성

 

1) 리튬이온 배터리가 널리 사용되는 것은 리튬 배터리만의 여러 장점이 있기 때문입니다.

  • 뛰어난 내구성: 충전과 방전 사이클 수백 번을 겪고도 성능 유지.
  • 높은 에너지 밀도: 작고 가벼워 휴대가 편하면서도 많은 에너지 저장 가능.
  • 빠른 충전 속도: 배터리 대비 충전 시간이 짧음.

2) 그러나 리튬이온 배터리는 다음과 같은 특징 때문에 위험합니다:

  • 리튬은 화학적 반응성이 큰 금속으로, 과충전, 충격, 고온, 수분에 취약합니다.
  • 화재 발생 시 일반 화재에 비해 온도가 매우 높은 D급 금속화재로 분류되어 일반적인 소화 방법으로는 진압이 어렵습니다.
*금속화재란?
금속화재는 리튬, 나트륨, 마그네슘 등 금속이 연소할 때 발생하는 화재를 말합니다. 일반적인 물이나 분말소화기로는 오히려 화재를 악화시킬 수 있어 특수 소화기가 필요합니다.

 

국내 리튬이온 배터리 화재 현황

 

리튬이온 배터리는 심각한 안전 위험을 동반합니다. 2024년 7월 한국 소방청 발표에 따르면, 최근 5년간 612건의 리튬이온 배터리 화재가 발생했습니다.

 

1) 화재 발생 장소:

  • 공동주택: 48.9% (299건)
  • 거리와 공터: 19.1% (117건)
  • 건물 및 수리점: 19% (116건)
  • 단독주택: 10.6% (65건)
  • 주차장: 2.5% (15건)

절반 가까운 배터리 화재가 공동주택에서 발생했습니다. 일상생활 공간에서의 배터리 안전관리가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죠.

 

2) 화재 발생 시 배터리 상태:

  • 과충전 상태: 51% (312건)
  • 비충전 상태: 9.8% (60건)
  • 보관 중: 8% (49건)
  • 수리 중: 7.4% (45건)
  • 사용 중: 7.2% (44건)
  • 충격 후: 2.8% (17건)

전체 화재의 절반 이상이 과충전 상태에서 발생했다는 점이 눈에 띄는데요, 리튬 배터리 화재를 막으려면 과충전을 피해야 한다는 것을 보여줍니다.

 

 

위험한 리튬이온 배터리, 안전하게 사용하는 법

반응형

 

1) 안전한 리튬이온 배터리 고르는 법

  • 안전 인증 마크가 있는 정품만 구매하세요. KC인증 여부는 제품안전정보센터 공식홈페이지에서 검색할 수 있습니다. https://safetykorea.kr
  • 배터리 뿐 아니라 충전기와 전원 어댑터도 정품으로 사용해야 합니다. 배터리 관련 제품은 중국 직구나 한국내 영세업체가 구매대행하는 제품 등은 피하는 것이 좋겠습니다.
  • 보조배터리 제품 뿐 아니라 전기킥보드, 전기자전거 등 고용량 리튬배터리를 사용하는 제품도 안전성을 신뢰할 수 있는 업체 제품으로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. 이와 같은 제품군은 가격을 중점에 두고 선택하는 경우가 많은데, 상당한 고용량 배터리를 사용하는 데다 외부 충격에 매우 쉽게 노출되고, 고온과 수분에 노출되는 경우도 흔하기 때문에 그 어떤 제품군보다도 안전성을 중시해 선택해야 합니다.

2) 리튬이온 배터리 사용할 때 주의할 점

  • 배터리를 90% 이하로 충전해야 합니다. 이 방법은 배터리 수명을 관리하는 방법으로 알려져 있지만, 배터리 화재 예방에도 도움이 됩니다. 더욱 안전하게 이용하려면 80% 이내로 충전하는 것도 좋습니다.
  • 멀티탭이 아닌 콘센트에 직접 충전기를 연결해야 합니다.
  • 침대나 소파 등 열이 잘 빠지지 않는 곳에서는 충전하지 마세요. 열 배출이 안 되어 배터리가 고온 상태가 되기 쉽고, 쉽게 타는 가연성 물질이라 더욱 위험합니다.
  • 배터리가 과열되거나 부풀어 오르는 등 모양이 이상해진 경우 즉시 사용을 중단해야 합니다.

3) 이동/보관 시 주의사항

  • 장거리 이동 시에는 배터리 충전량을 30% 이내로 유지하세요. 
  • 무더위 속 차량 내부 등 고온 환경이나 이동 중의 충격에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세요.
  • 이동 시에도 언제든 화재에 바로 대응할 수 있도록 배터리(보조배터리, 배터리 사용 전자기기)는 손이 닿는 곳에 휴대하고 있어야 합니다.

 

맺는 말

리튬이온 배터리는 완전히 일상용품이 되었음에도 그 위험성이 간과되어왔습니다. 그러나 위에 서술했듯 안전하게 사용하지 않으면 나와 남에게 큰 피해를 끼치는 위험한 물건이 될 수 있습니다. 최근 연달아 보도되는 보조배터리 화재 소식에 불안하셨던 분들께 이 글에서 소개하는 안전 지침이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.

 

 

-

 

저는 다음에도 내가 궁금해서 썼지만 남에게도 도움이 되는 글로 돌아오겠습니다.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.

 

 

 

 

 

리튬이온배터리 안전하게 버리는 법

이 글은 리튬이온 배터리를 안전하게 폐기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. 리튬이온 배터리를 그냥 버렸을 때의 환경/안전 위험성과 리튬이온 배터리의 재활용 정보도 포함합니다. - 최근 전자기기

hae-collection.tistory.com

 

 

리튬 배터리 화재 전용 소화기 필요한 이유 & 리튬 배터리 KFI 인증 소화기 현황

리튬 배터리 화재의 특수성과 대응 필요성리튬 배터리 화재는 일반 화재와 구분되는 특수성을 가집니다. 따라서 리튬 배터리 화재를 잘못된 방식으로 진압하면 오히려 더 큰 위험을 불러올 수

hae-collection.tistory.com

 

 

 

반응형

관련글 더보기